맹자(孟子) 양혜왕상(梁惠王上) 3장
오십보 백보의 고사가 맹자와 왕혜상의 대화에서 유래 된 것이었습니다.
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것은 오십보 도망가는 병사와 백보 도망가는 병사의 내용이었는 데
원문에서는 국가 경영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.
예나 지금이나 가난한 것은 매 일반인 거 같아 마음이 무겁기도 합니다.
여러가지 이유로 목숨이 다 한 사람들의 장례조차 치뤄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
현대사회의 사람들 또한 고민해야 하는 문제임 듯 합니다.
남 탓 하지 말고 가장 옳바른 최고선을 행하는 맹자의 가름침을 다시한 번 숙려합니다.
맹자(孟子) 양혜왕상(梁惠王上) 3장 양혜왕왈과인지어국야(梁惠王曰寡人之於國也) 중 발췌
1절
梁惠王 / 曰 / 寡人之於國也 / 盡心焉耳矣
양혜왕이 말하였다. “과인은 나라를 다스리는 데 마음을 다하고 있습니다.
河內凶 / 則移其民於河東 / 移其粟於河內
河內가 흉년이 들면 그곳 백성을 河東으로 이주시키고 그곳 곡식을 하내로 옮겨 구휼하였으며,
河東 / 凶 / 亦然 / 察隣國之政
하동에 흉년이 들면 역시 그런 식으로 하였습니다. 그런데 이웃 나라의 정사를 살펴보면,
無如寡人之用心者 / 隣國之民 / 不加少
과인만큼 마음을 쓰는 자가 없는데, 이웃 나라의 백성들이 더 줄어들지 않고
寡人之民 / 不加多 / 何也
과인의 백성들이 더 늘어나지 않는 것은 왜입니까?”
2절
孟子對曰 / 王 / 好戰 / 請以戰喩
맹자께서 대답하셨다. “왕께서 전투를 좋아하시니, 전투를 가지고 비유를 해 보겠습니다.
塡然鼓之 / 兵刃旣接 / 棄甲曳兵而走
둥둥 북이 울려 칼날을 부딪치며 접전을 벌이다가, 한쪽이 패하여 갑옷을 버리고 무기를 끌고 달아나게 되었습니다.
或百步而後 / 止 / 或五十步而後 / 止
어떤 병사는 100보를 도망간 뒤에 멈추고 어떤 병사는 50보를 도망간 뒤에 멈추었는데,
以五十步 / 笑百步 / 則何如 / 曰 / 不可
만약 50보를 달아났다 하여 100보를 달아난 자를 비웃는다면 어떻습니까?” 왕이 말하였다. “그럴 수야 없지요.
直不百步耳 / 是亦走也
100보를 달아나지 않았을 뿐이지 이 역시 달아난 것입니다.”
曰 / 王如知此 / 則無望民之多於隣國也
맹자께서 말씀하셨다. “왕께서 만일 이것을 아신다면 백성들이 이웃 나라보다 더 많아지길 바라지 마십시오.
3절
不違農時 / 穀不可勝食也
농사철을 놓치지 않으면 곡식을 이루 다 먹을 수 없게 되고,
數罟 / 不入洿池 / 魚鼈 / 不可勝食也
촘촘한 그물을 웅덩이와 연못에 넣지 않으면 물고기를 이루 다 먹을 수 없게 되고,
斧斤 / 以時入山林 / 材木 / 不可勝用也
도끼와 자귀를 때에 맞게 산과 숲에 들어가게 하면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게 될 것입니다.
穀與魚鼈 / 不可勝食 / 材木 / 不可勝用
곡식과 물고기를 이루 다 먹을 수 없고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게 되면,
是 / 使民養生喪死 / 無憾也
이는 백성으로 하여금 살아 있는 이를 봉양하고 죽은 이를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니,
養生喪死 / 無憾 / 王道之始也
살아 있는 이를 봉양하고 죽은 이를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 바로 王道의 시작입니다.4절
4절
五畝之宅 / 樹之以桑 / 五十者可以衣帛矣
5묘의 집터에 뽕나무를 심으면 50세 이상 된 이들이 비단옷을 입을 수 있고,
鷄豚狗彘之畜 / 無失其時 / 七十者可以食肉矣
닭이나 돼지, 개 같은 가축들을 기르면서 새끼 밸 때를 놓치지 않게 하면 70세 이상 된 이들이 고기를 먹을 수 있고,
百畝之田 / 勿奪其時 / 數口之家可以無飢矣
100묘의 토지를 경작하는데 그 농사철을 빼앗지 않으면 한 집의 몇 식구가 굶주리지 않을 수 있고,
謹庠序之敎 / 申之以孝悌之義
학교 교육을 신중히 행하여 효도와 공경의 도리를 거듭 가르치게 되면
頒白者不負戴於道路矣
반백의 노인들이 길에서 짐을 지거나 이지 않게 될 것입니다.
七十者衣帛食肉 / 黎民 / 不飢不寒
70세 이상 된 이들이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, 젊은 백성들이 굶주리거나 추위에 떨지 않게 하고서도
然而不王者 / 未之有也
천하에 왕노릇 못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5절
狗彘食人食而不知檢 / 塗有餓莩而不知發
개나 돼지들이 사람이 먹을 양식을 먹는데도 단속할 줄 모르고, 길에 굶어 죽은 시체가 나뒹구는데도 창고를 열어 구제할 줄은 모른 채,
人死 / 則曰 / 非我也 / 歲也
백성들이 굶어 죽으면 ‘내가 그런 것이 아니라 농사가 흉년이 들어서이다.’ 하는데,
是何異於刺人而殺之曰 / 非我也 / 兵也
이는 사람을 찔러 죽이고서 ‘내가 그런 것이 아니라 칼이 그런 것이다.’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단 말입니까.
王無罪歲 / 斯天下之民 / 至焉
왕께서 그 이유를 농사 탓으로 돌리지 않으신다면 천하의 백성들이 왕의 나라로 몰려 올 것입니다.”
출처 : 『한국고전종합DB』, 한국고전번역원
*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