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용(中庸) 천명지위성(天命之謂性)

캠핑장
작성자
고전매니아
작성일
2023-09-22 16:33
조회
877

img.jpg

치우침이 없는 중도를 지키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.

핏줄을 나눈 가족이 있고 생사고락을 함께한 동료가 있으며

우정을 나눈 친구가 있습니다.

누구나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있어 우선순위는 명확한 데

그 의사결정이 치우치면 중도는 붕괴되고

외부의 소리가 두려워지고 무서워지는 것같습니다.

스스로를 채찍질하면서 옳바른 것에 귀기울이지 않는다면 중용(中庸)은 요원한 것 같습니다.

img.jpg

중용(中庸) 1장 천명지위성(天命之謂性)

1절

天命之謂性  /  率性之謂道

하늘이 모든 사물에 부여해 준 것을 性이라 하고, 性대로 하는 것을 道라 하고,

修道之謂敎

道를 中道에 맞게 하나하나 조절해 놓은 것을 敎라 한다.

2절

道也者 /  不可須臾離也  /   可離 /  非道也

道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. 떠날 수 있으면 道가 아니다.


是故 /  君子 /  戒愼乎其所不睹

그러므로 군자는 외부의 사물을 보기 전부터 경계하고 삼가며,

恐懼乎其所不聞

외부의 소리를 듣기 전부터 두려워하고 조심하는 것이다



3절

莫見乎隱  /  莫顯乎微 /  故 /  君子

어두운 곳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고 작은 것보다 더 분명하게 보이는 것은 없다. 그러므로 군자는


愼其獨也

혼자만 아는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생각을 신중하게 살피는 것이다.


4절

喜怒哀樂之未發  /  謂之中 /  發而皆中節

희노애락의 감정이 아직 발해지지 않아 치우침이 없는 상태를 中이라 하고, 그 감정이 발하여 모두 節度에 맞는 것을

謂之和 /  中也者 /  天下之大本也 /  和也者

和라 한다. 그러니 中이라는 것은, 모든 이치가 이를 통해 나오므로 천하의 큰 근본이며, 和라는 것은,


天下之達道也

언제 어느 곳에서나 가야 할 길이므로 천하의 공통된 道이다.


5절

致中和  /  天地位焉 /  萬物 /  育焉


中과 和의 경지를 이루면 천지가 제 위치에 있고 만물이 제대로 길러진다.

출처 : 『한국고전종합DB』, 한국고전번역원

*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.



중용(中庸) 천명지위성(天命之謂性) (tistory.com)

전체 0

위로 스크롤